Language (17) 썸네일형 리스트형 JavaScript~indexedDB이란? 개념과 사용법에 대하여 indexedDB이란 indexedDB란 유저의 브라우저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전에 다룬 localStorage나 sessionStorage와 유사합니다. 하지만, local이나 session보다 대용량의 저장소를 제공하며, 유저의 브라우저에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여, 네트워크 상태에 상관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제공 용량은 브라우저와 디스크 공간에 따라 다릅니다. 크롬과 크롬기반의 브라우커는 디스크 공간의 80%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각각의 단일 원본에서는 75%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파이어 폭스의 경우 각 원본 별로 2GB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사파리에서는 원본 별로 1GB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선 바닐라JS로 구연해 보겠습니다. https:.. TypeScriptとJavaScriptの比較 TypeScriptはMS(マイクロソフト)が開発した開発言語で、JavaScriptを基にして作られました。JavaScriptの短所を 補完して、より開発にサポートできる言語として開発されました。基本的な文法はJavaScriptと似ていますが、どんな違いがあるか、その特徴などをこの記事でまとめようとします。 タイプ (データの型) の定義 JavaScript: JavaScriptは動的な言語で、変数の宣言、またはメソッドのリターンやパラメータはどのタイプ(データの型)を定義しなくても、自動的にタイプが設定されます。 let test = 'a'; test = 1; // testのtypeはanyに自動設定 TypeScript: TypeScriptは静的な言語です。 変数の宣言、またはメソッドのリターンやパラメータはどのタイプ(データの型)を定義できます。もちろん、Ja.. TypeScript와 JavaScript의 비교 타입스크립트는 MS(마이크로 소프트)에서 개발된 개발언어로 자바스크립트를 바탕으로 만들어 졌습니다. 자바스크립트의 단점을 보완해, 보다 개발자를 서포트 할 수 있는 언어로서 개발되었습니다. 그렇기에 기본적으로 자바스크립트와 유사한 모습입니다만, 어떤 부분이 보완되었는지, 그 특징을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타입 설정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는 동적인 언어로, 변수 선언 혹은 함수의 반환값이나 함수의 매개변수 등의 타입을 정의하지 않아도 됩니다. 변수의 경우, 값을 정의할 때 자동적으로 타입이 지정됩니다. let test = 'a'; test = 1; // test의 type은 any로 자동 지정됨 TypeScript: 타입스크립트는 정적인 언어입니다. 변수 선언 혹은 함수의 반환값이나 함수의 매개.. Java~문자열 속 특정 문자 찾기 contains와 matches 들어가기에 앞서 자바에서 문자열 안에 특정 문자를 포함해 있는지를 확인 하는 방법으로 크게 contians와 matches의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이 방법의 특징과 사용 법에 대해서 정리해 보기로 합시다. contains(CharSequence sequence) 파라메터로 오는 특정한 문자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메소드입니다. String str = "Hello, World!"; boolean test = str.contains("Hello"); System.out.println(test); // 출력: true matches(String regex) 파라메터로 오는 정규표현식에 맞는 문자인지 확인하는 메소드입니다. String str = "Hello, World!"; boolean test = .. JavaScript~localStorageとsessionStorageの比較 はじめに localStorage、sessionStoreageはjavaScriptのweb Storage APIの一種です。両方ともクライアントサイドにデータを格納するために使われます。基本的な使い方は一緒ですが、何点か違うところもあります。今回はlocalStorage、sessionStoreageの使い方とその違う点に対してまとめようと思います。 localStorageとは? 冒頭で書いた通り、クライアントサイド、つまりユーザーのブラウザーにデータを格納・取得Web Storage APIの一種です。ブラウザーを閉じた後、また開いてもデータは保存されます。格納されているデータは「key」と「value」を持っています。データの型はString(文字列)型のため、number型やobject型などのデータを格納するにはString型に変換する必要があります。 localS.. JavaScript~localStorage와 sessionStorage의 차이 들어가기에 앞서 localStorage sessionStoreage는 자바스크립트의 web Storage API의 일종입니다. 둘 다 클라이언트 사이드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하는 기능입니다만, 둘 사이엔 몇가지의 차이점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선 localStorage sessionStoreage의 사용 예와, 둘의 차이점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localStorage란? 앞서 서술했듯이 클라이언트 사이드, 즉 유저의 브라우저에 데이터를 일시 저장, 호출 하는 Web Storage API입니다. 브라우저를 닫은 후 다시 열어도 데이터가 보존되어있는 영구 저장소입니다. 저장되는 데이터는 'key'와 'value'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저장되는 데이터의 형태는 .. JavaScript~変数宣言 const、let、varの比較 varを使った変数宣言 最近はあんまり使われてはいません。 変数の上書き(再割り当て)ができるし, 変数の再宣言ができます。この再宣言の可能性のせいで、安定性のため最近にはよく使われておりません。 var tmpVal = '宣言'; console.log(tmpVal); // '宣言'を出力 tmpVal = '修正'; console.log(tmpVal); // '修正'を出力 var tmpVal = '再宣言'; console.log(tmpVal); // '再宣言'を出力letを使った変数宣言 変数の再宣言ができない です。しかし、変数の上書き(再割り当て)はできます。 上書きが必要な変数の宣言に使われます。 let tmpVal = '宣言'; con.. JavaScript~변수 선언 const, let, var의 차이점 var를 이용한 변수선언 요즘에는 잘 사용되지 않는 편이긴 합니다. 변수 값의 변경(재할당)이 가능하고, 변수의 재선언이 가능합니다. 이 재선언의 가능성 때문에 안전성이 이유가 되어 요즘에는 잘 사용되지 않습니다. var tmpVal = '변수 선언'; console.log(tmpVal); // '변수 선언'을 출력 tmpVal = '변수 수정'; console.log(tmpVal); // '변수 수정'을 출력 var tmpVal = '변수 재선언'; console.log(tmpVal); // '변수 재선언'을 출력 let을 이용한 변수선언 변수의 재선언이 불가능 합니다. 하지만 변수 값의 변경(재할당)은 가능합니다. 값의 변화가 필요한 변수에 사용됩니다. let tmpVal = '변수 선언'; cons..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