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무일기

[직무 소개] Bridge SE (BrSE) - 브릿지 시스템 엔지니어

반응형

들어가기 앞서

일본에서 SIer, 사내 SE로서 백엔드, 프론트엔드 개발을 7년간 해 왔습니다. 다음 커리어 스탭으로 PM을 고민하고 있던 찰나, 영국으로 워홀을 오게 되면서 다음 스탭을 향한 발걸음을 잠시 멈추고자 했습니다. 영어가 안되니 일단 익숙한 일을 해야 겠다 싶어서였습니다. 그러나 새로운 직장을 찾는 와중, Bridge SE라는 다음을 위한 좋은 기회와 만나게 되었고,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한국에는 없는 직무명이라 낯설거라 생각을 합니다. 그래서 이 기회에 이 직무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합니다.


 

1. Bridge SE란?

이미지 출처:  https://medium.com/@mar.rabiloo/what-is-bridge-se-brse-what-are-the-overseas-roles-and-skills-required-b988c1ab5106



Bridge System Engineer 의 약자로 오프쇼어(offshore) 또는 해외 개발 환경에서 클라이언트와 해외 개발팀 사이에서 소통과 조율의 역할을 담당하는 엔지니어를 의미합니다. 클라이언트 요구사항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이를 해외 개발팀에 전달하며, 반대로 개발 진행 상황을 클라이언트와 공유하며 소통의 창구로서의 역활을 수행합니다.

 

Bridge SE라는 직무명은, 일본IT산업에서 흔히 사용되는 직무명으로, 다른 나라에서는 이와 비슷한 역할의 유사포지션이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Technical Project Coordinator', 'Technical Account Manager', 'Offshore Coordinator', 'IT Consultant', 'Project Manager with bilingual skills' 등의 다른 이름으로 불리는 유사 포지션이 있습니다.

한국이라면 'PM', '커뮤니케이터'가 유사포지션에 해당됩니다.

2. 주요 업무

  • 고객 요구사항 수집 및 분석, 설계 문서 작성 및 명세화
  • 해외 개발팀과의 기술 조율, 테스트 및 QA
  • 프로젝트 진행 상황 보고 및 일정 관리
  • 문화·언어 차이를 조정하며 원활한 협업 환경 조성
    → 노션이나 슬랙 같은 프로젝트 운용에 있어서 사용될 툴의 선정, 시차가 있는 환경에서의 미팅 스케줄링 등

3. 요구 역량

  • 다국어 커뮤니케이션 능력 → 주로, 영어-일본어
  • 기술 이해력 및 새로운 기술에 대한 민감도→ 개발자 경험 선호
  • 프로젝트 관리 및 문제 해결 능력
  • 다문화에 대한 이해와 팀 간 조율 능력

4. Career Path

  • PM (Project Manager)
  • Tech Leader
  • IT Consultant

 

제가 지원한 회사의 경우 사실상 PM으로서 Bridge SE의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고 합니다. 영국은 아닙니다만, 동유럽에 위치한 나라로 영어와 메니지먼트 기술을 익힐 수 있는 좋은 기회가 찾아왔다고 생각합니다. 이 직무를 통해 한단계 성장할 나날이 기대되됩니다.

반응형